Home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구성 시 주의점
Post
Cancel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구성 시 주의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Primary, Replication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Replication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글을 참조해 주세요.

image







1. 프로젝트 인프라 구성


현재 프로젝트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API 서버에서는 Primary,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바라보고 있으며, Primary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image









2. 문제상황 및 해결


그런데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는 Primary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연동되기 때문에 Primary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는 값을 받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서버 측에서 Primary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포트를 개방해 줘야 하는데요, 이를 해주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즉, 아래 MySQL들이 별도로 단절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입니다.

image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 인바운드 / 아웃바운드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였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Replication 서버의 인바운드 규칙에 Primary 데이터베이스 서버 포트/아이피를 추가해 주었고, 그러자 두 데이터베이스 간의 싱크가 이루어졌습니다.

image

image









3. 정리


Primary,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를 별도의 서버/서브넷으로 분리해 주기 위해서는, Primary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오는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는 인바운드 규칙을 별도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Replication의 연동 원리

ETag 적용기 및 발생했던 이슈